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리버싱
- CodeEngn
- RITSEC CTF 2019
- ftz
- requests
- writeup
- x64dbg
- ctf
- HackCTF
- 버퍼오버플로우
- 보안뉴스
- 어셈블리어
- 웹해킹
- RITSEC
- 리눅스
- Shadow 동아리
- Next.js
- Hackerschool
- buffer over flow
- termux
- reversing
- Python
- webhacking
- Nop Slide
- NewsClipping
- PWN
- SQL Injection
- Linux
- BOF
- 뉴스클리핑
Archives
- Today
- Total
Jaeseo's Information Security Story
[발표자료] SCP, Length Extension Attack에 대하여 - 김재서 (ppt) 본문
Security Study/Web hacking
[발표자료] SCP, Length Extension Attack에 대하여 - 김재서 (ppt)
Jaeseokim 2020. 2. 16. 14:11


TeamModu CSP, Length extension attack - 김재서.pptx
0.83MB
TeamMODU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이번에 알게된 스킬에 대해 정리 요약한 PPT.
뭔가 설명을 해볼려고 노력을 했지만 엉성하게 완성이 되었다 ㅠㅠ 담에는 제대로 준비해서 발표를 준비해야 할 것 같다.
'Security Study > Web hack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hostcat(cve-2020-1938, CNVD-2020-10487) 취약점 이란? 톰캣 AJP 취약점 (Feat. VolgaCTF 2020 Qualifier NetCorp) (0) | 2020.03.30 |
---|---|
[node.js] : HTTP request splitting을 이용한 SSRF 취약점(feat.NullCon_2020-split_second WriteUp) (0) | 2020.03.01 |
LFI (Local File Inclusion) 로컬 파일 포함 공격 (0) | 2019.11.11 |
XXE Injection 공격 (0) | 2019.10.27 |
Python requests를 이용한 blind injecthion 스크립트 제작 (2편) (2) | 2019.10.23 |